“쾅쾅쾅!”
“39호! 영감님! 계세요? 문 좀 열어보세요!”
서울 동대문구의 한 고시원. 4층 39호는 여전히 대답이 없었다. 모두 24개의 방이 모여 있는 이곳. 겨우 사람 하나 누울 자리가 마련된 개인실은 꼼지락거리기만 해도 벽을 넘어 소리가 새어나온다.
한데, 문 두드리는 소리가 저 끝에서도 울리건만. 39호는 아무런 기척이 없다.
발견
2021년 1월 11일. 고시원은 오전부터 시끄러웠다. 기어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이곳마저 덮쳤다. 35호실에 사는 주민이 확진됐다는 소식. 이영숙(가명) 원장은 모든 방을 노크하고 다녔다.
“우리 고시원도 확진자 나왔대. 다들 검사받으러 가셔야 해.”
하지만, 39호는 여전히 반응이 없다.
“이 양반 아침부터 안 보이더니, 어디 외출이라도 나갔나?”
뭔가 불길했다. 혹시나 싶어 문을 힘껏 밀어본다. 겨우 요만한 틈새로 안쪽 풍경이 비쳤다. 시커먼 손이 보였다. 미동도 하지 않는 손이.
깜짝 놀란 이 원장은 엉덩방아를 찧을 뻔했다. 놀란 가슴을 진정시키며 휴대전화를 꺼내들었다.
“119, 119···.”
그때가 오후 5시 59분이었다.
긴급 출동한 구급대원들. 아무리 밀어도 문이 꼼짝하질 않는다. 결국 복도로 난 창문을 뜯고 진입했다. 오후 6시 20분. 이미 숨이 끊긴 채 싸늘히 식은 시신.
강정식 씨는 고시원 원장의 신고로 1월 11일 오후 6시 20분 1평 남짓한 방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강 씨가 지낸 곳에는 이미 다른 주민이 거주해 같은 구조의 다른 방만 확인할 수 있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향년 79세. 강정식(가명) 씨는 그렇게 세상을 떠났다.
1월 12일. 방역수칙에 따라 병원에 옮겨진 시신은 코로나19 검사부터 진행됐다. 양성 반응이 나왔다. 부검도 할 수 없는 상황. 사망원인은 ‘불명’.
“어젯밤만 해도 기척이 들렸는데···.”
옆방 주민의 진술에 따라 사망일시는 ‘11일 0시 추정’으로 남았다.
‘사망 후 코로나19 양성 판정.’
그리고,
‘서울 2만1915번 확진자.’
삼형제
이날 오후. 강상준(가명·50) 씨의 휴대전화가 울렸다.
“여보세요?”
“혹시, 강상준 선생님이 맞으실까요?”
“네, 접니다.”
“··· 주민센터입니다. 아버님이 강정식 선생님이시죠? 부친께서 어제 오후에 소천하셨습니다. ···”
잠시 흐르는 침묵. 상준 씨는 “아···”라 입을 떼다 한참 뜸을 들였다. 아버지란 단어를 입에 담아보는 게 얼마 만일까.
“아버지는···. 어떻게 지내다가 떠나셨습니까?”
“돌아가시기 전까지 고시원에서 혼자 지내셨어요.”
당황스러웠다. 슬프진 않았다. 그냥 당황스러웠다. 이미 오래전 우리를 떠났던 사람. 단 한 번도 따뜻하게 안아준 기억이 없는 사람. 그가, 혼자 세상을 떠났다.
현재
과거
1975년 어느 날. 아버지가 집을 떠났다. 당시 상준 씨는 네 살, 동생은 갓 돌을 지났을 때였다. 이혼이 무슨 뜻인지도 몰랐다. 아버지는 서울로 가셨다고 했다. 논산에 남은 삼형제는 결국 할머니에게 맡겨졌다.
부모가 떠난 아이들. 삶은 예상보다 더 곤궁했다. 찢어지게 가난하단 표현이 딱 들어맞았다. 할머니는 논에서 이삭을 주워가며 손자들을 거둬 먹였다. 상준 씨의 형은 먼 등굣길을 고물자전거로 버텼다. 그들은, 아버지가 미웠다.
논산
서울
2009년 1월 늦은 밤. 강정식 씨는 이제야 몸을 누였다. 서울 도심 속 좁아터진 낯선 천장의 고시원. 예순일곱. 늙어버린 몸.
수중에 돈이라곤 없었다. 은퇴 뒤 두 번째 이혼. 월세 23만 원이 없어 친구가 빌려줬다. 손끝이 아리는 추운 겨울. 홀로 이삿짐을 날랐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
차마 아이들에게 손 벌릴 생각조차 하지 못했다. 홀로 시작한 고시원 생활은 상상보다 더 괴로웠다. 고시원은 ‘외딴 섬’이었다. 누우면 외로움이 물밀 듯 몰려왔다. 그럴수록 강 씨는 더 몸부림쳤다. 아침마다 장을 봐 직접 요리를 해먹었다. 꼭 다림질한 셔츠와 정장을 갖춰 입고 외출했다.
강정식 씨가 셔츠와 정장 세탁을 자주 맡겼던 서울 동대문구 세탁소. 그는 노년에 고시원에서 홀로 생활하면서도 항상 다림질한 셔츠와 정장을 갖춰 입고 다녔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강 선생님은 여느 분과는 좀 달랐어요. ‘순둥이’라고나 할까. 점잖으시고, 남한테 폐 끼치는 행동은 절대 안 하셨어요. 언젠가 넌지시 자녀 얘기를 에둘러 꺼내신 적도 있긴 한데,
왠지 남모를 아픔이 느껴져 자세히 여쭤보지도 못했죠.”(당시 고시원의 김종근 원장)
세월은 그들의 관계를 돌려놓지 못했다. 시간이 흘러 아버지와 아들들은 가끔 안부 전화를 나누기도 했다. 하지만 그저 오가는 형식적인 말들뿐. 따뜻한 위로나 걱정은 주고받질 못했다.
상준 씨는 한참 뜸을 들였다. 아버지가 고시원에서 혼자 생활한다는 걸 알게 된 뒤 고심 끝에 동생에게 털어놨다. 그래도 아버지인데, 용돈이라도 모아드리자고. 동생의 반응은 차가웠다.
“글쎄요, 형. 전 좀 생각해볼게요.”
충분히 이해가 됐다. 말도 떼기 전에 자식을 떠난 아버지. 힘들 때 옆에 없었던 아버지. 정이 남아있을 리가 없었다.
“아버지 없이 커서 삶이 팍팍했어요. 세상살이에 지치기도 많이 지쳤고요. 2016년 영등포역 근처에서 잠깐 뵌 게 마지막이네요. 누굴 돌볼 여력조차 없었습니다.”(상준 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