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타인의 삶이 나의 일이 될 때
26인의 환자 취재기
송혜미 기자동아일보 경제부
2023-04-07 10:00:01
‘안녕하세요. OOO 선생님 통해 연락드리게 된 동아일보 송혜미 기자입니다. 취재 동의해주셨다고 들었습니다. 감사드려요. 혹시 통화 편하신 때 언제실까요?’

<표류> 인터랙티브 기사 1회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의 첫 사례자이자 지면 시리즈 기사 주인공이기도 한 종열 씨와의 인연은 이 한 통의 문자로 시작됐다. 특별할 것 없는 내용이지만 사실 몇 번을 고쳐 썼다. 장문의 문자를 한바탕 썼다가 너무 부담스러울 것 같아서 지웠다. 친근하게 물결(~)이나 느낌표(!)를 붙일지, 그게 아니면 신뢰감을 주도록 마침표만으로 문장을 끝낼지, 전송 버튼 누르기 직전까지 고민했다. 그러느라 종열 씨의 연락처를 전달받고도 2시간 후에야 문자를 보낼 수 있었다.
종열 씨뿐만이 아니다. 모든 표류 환자와의 첫 만남이 내내 이런 과정을 거쳤다. 누군가의 삶에 발을 들이는 첫 걸음이라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들어야 하는 이야기가 아프고 괴로운 것일수록 망설이는 시간은 더 길어졌다. 표류 끝에 세 살 자녀를 잃은 가족을 취재할 땐 며칠동안 문자를 썼다 지웠다 휴대폰을 붙들고 씨름했다. 하루아침에 아이를 잃은 슬픔 앞에서 어떤 인사말도 무심하게 느껴져서다. 그들의 이야기를 끝내 기사에 다 담지 못한 것도 남겨진 가족들의 고통이 너무 크고 깊었기 때문이다.
텍스트 기사와 더불어 인터랙티브 기사를 함께 제작해야 하는 점도 취재를 어렵게 했다. 텍스트 기사엔 이야기만 있으면 되지만 인터랙티브 기사에는 생생한 시청각 자료가 필요하다. 활자보다도 그게 우선이다. 표류 당시 구급차, 응급실, 수술실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영상 같은 것들. 기시감이 들 법한 이 아이템에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생생하게 시각화했을 때의 충격파를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청각 자료를 구하고 사용하는 데는 생각보다 난관이 많았다. 구급차나 응급실 CCTV 영상은 보관 기간이 짧았다. 현장에서 내내 카메라를 켜고 있다 만나는 환자가 아닌 이상 지난 사례에 대해 이미지, 영상, 음성을 구하는 게 어려웠다. 설령 자료를 구하더라도 환자나 가족들이 사용을 쉽게 허락해주지 않았다. 그들은 표류의 기억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괴로워했다. 악몽 같던 그날을 다시 마주볼 자신이 없다고 했다. 이런 사정으로 취재를 한참 진행하다 더 이상 응할 수 없을 것 같다며 어렵게 말을 꺼낸 사례자도 있었다.
종열 씨뿐만이 아니다. 모든 표류 환자와의 첫 만남이 내내 이런 과정을 거쳤다. 누군가의 삶에 발을 들이는 첫 걸음이라 신중할 수밖에 없었다. 들어야 하는 이야기가 아프고 괴로운 것일수록 망설이는 시간은 더 길어졌다. 표류 끝에 세 살 자녀를 잃은 가족을 취재할 땐 며칠동안 문자를 썼다 지웠다 휴대폰을 붙들고 씨름했다. 하루아침에 아이를 잃은 슬픔 앞에서 어떤 인사말도 무심하게 느껴져서다. 그들의 이야기를 끝내 기사에 다 담지 못한 것도 남겨진 가족들의 고통이 너무 크고 깊었기 때문이다.
텍스트 기사와 더불어 인터랙티브 기사를 함께 제작해야 하는 점도 취재를 어렵게 했다. 텍스트 기사엔 이야기만 있으면 되지만 인터랙티브 기사에는 생생한 시청각 자료가 필요하다. 활자보다도 그게 우선이다. 표류 당시 구급차, 응급실, 수술실의 모습을 담은 사진과 영상 같은 것들. 기시감이 들 법한 이 아이템에 확신을 가질 수 있었던 것도 생생하게 시각화했을 때의 충격파를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청각 자료를 구하고 사용하는 데는 생각보다 난관이 많았다. 구급차나 응급실 CCTV 영상은 보관 기간이 짧았다. 현장에서 내내 카메라를 켜고 있다 만나는 환자가 아닌 이상 지난 사례에 대해 이미지, 영상, 음성을 구하는 게 어려웠다. 설령 자료를 구하더라도 환자나 가족들이 사용을 쉽게 허락해주지 않았다. 그들은 표류의 기억을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괴로워했다. 악몽 같던 그날을 다시 마주볼 자신이 없다고 했다. 이런 사정으로 취재를 한참 진행하다 더 이상 응할 수 없을 것 같다며 어렵게 말을 꺼낸 사례자도 있었다.

취재가 난관에 부딪히던 순간을 곱씹어볼수록 알겠다. 선뜻 이야기를 들려주고 취재에 기꺼이 응해주는 사람들을 만난 게 큰 행운이었다는 걸 말이다. 시리즈에 등장하는 취재원들은 하나같이 비슷한 말을 했다. 이런 일이 계속될까봐 걱정된다고. 다른 사람들이 같은 일을 겪을까봐 무섭다고. 결국 <표류> 시리즈는 커다란 고통 속에서도 가족이, 친구가, 이웃이 같은 일을 당하지 않기만을 바란 환자와 그 가족들의 선의에 빚지고 있다.
기사가 끝나도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취재하는 동안 표류 환자, 그 가족에게 진 빚에 보답하는 길은 이 끝나지 않는 이야기에 계속해 귀 기울이는 일이다. 또 수년째 같은 고통을 외면해온 정부와 정치권이 이번엔 제대로 된 응답을 내놓을지 지켜보는 일이다. 6기 히어로콘텐츠팀은 총 5회로 계획한 시리즈를 마치고 해단식을 가졌다. 아이러니하게도 해단식에서 나온 결심은 “끝까지 지켜보자는 것”이었다. 아직 아무것도 끝나지 않았다.
기사가 끝나도 이들의 삶은 계속된다. 취재하는 동안 표류 환자, 그 가족에게 진 빚에 보답하는 길은 이 끝나지 않는 이야기에 계속해 귀 기울이는 일이다. 또 수년째 같은 고통을 외면해온 정부와 정치권이 이번엔 제대로 된 응답을 내놓을지 지켜보는 일이다. 6기 히어로콘텐츠팀은 총 5회로 계획한 시리즈를 마치고 해단식을 가졌다. 아이러니하게도 해단식에서 나온 결심은 “끝까지 지켜보자는 것”이었다. 아직 아무것도 끝나지 않았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
표류 : 생사의 경계를 떠돌다
응급환자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무력하게 떠도는 ‘표류’는 운이 나쁜 누군가가, 어쩌다 겪는 일이 아닙니다.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26명의 ‘표류’ 환자와 그 가족을 인터뷰했습니다.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26명의 ‘표류’ 환자와 그 가족을 인터뷰했습니다.
2023.03.27~04.03·히어로콘텐츠 6기·

송혜미 기자동아일보 경제부
노동과 금융을 취재하며 평범한 사람들의 땀과 욕망, 기쁨과 슬픔을 관찰했습니다. 선의의 힘을 믿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쓰고 싶습니다.
Inside
더보기
-
Firebase DB로 게임 랭킹 요소 구현하기 이번 <누락: 당신의 아파트는 안녕하신가요> 시리즈 홍보를 위해 인터랙티브 형식의 게임 <아파트 메이커: 내가 만드는 나의 아파트>를 제작했다. 독자에게 내용을 쉽게 전달하기 위한 목적의 게임 형태의 ‘기사’가…2025.02.12·임희래 뉴스룸 디벨로퍼
-
Three.js에서 3D 모델을 최적화하기 위한 여정 Three.js는 지금까지 여러 번 기사에 활용했지만, 사용할 때마다 매번 새로운 문제에 직면한다. 여태까지 사용했던 3D 모델 중 가장 규모가 컸던 만큼 최적화하는 데에 긴 시간이 걸렸다.2025.02.12·임상아 뉴스룸 디벨로퍼
-
기둥 속 숨겨진 철근, 3D로 그려내다 1월 말 보도된 히어로콘텐츠 9기팀(이하 히어로팀) ‘누락’ 시리즈의 인터랙티브 기사에서 방점을 둔 것은 3D 모델이었다. 히어로팀은 아파트 부실시공 실태를 취재하기 위해 아파트 도면을 확보, 건물의 하중을 받는 지하 주차장 기둥에…2025.02.11·위은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