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신경외과 전공의 111명을 추적하다
다른 렌즈로 문제를 보다
이상환 기자동아일보 사회부
2023-04-10 10:00:01
분명 의사가 부족한 건 맞긴 한데… 진부할 정도로 많이 나와서 모두가 아는 얘기. 문제의 근본적 원인이라 꼭 써야 하지만, ‘또 그 얘기구나’ 싶은 그런 주제를 써야 했다. 수술실 의사 부족 문제다.
고민하다 결국 기존 기사들과는 다른 방식, 다른 렌즈로 문제를 들여다 보기로 했다. 그때 떠올린 게 한 기수를 전수 조사하는 것이었다. 전공의를 시작한 지 10년이 넘었을 의사들을 추적하고, 이들의 삶의 궤적을 파악해 졸업앨범 형식으로 정리하는 것.
문제는 신경외과 전공의는 한 기수만 해도 100명이 넘어간다. 누군지도 모를 100여 명의 의사들을 하나하나 추적하는 건 불가능했다. 결국 신경외과 의사들이 속해 있는 대한뇌혈관외과학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렇게 지난해 12월 방재승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를 만났다. 학회에서 이사를 겸하고 있는 교수다. 평일에는 매일 같이 수술에 들어가 시간을 낼 수가 없었다. 수술이 없는 토요일에 겨우 만날 수 있었다. 그 역시 힘이 들어 응급 수술이 많은 뇌혈관 파트를 떠나는 후배들에게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다. 흔쾌히 도움을 주겠다고 했다.
여기서 취재가 끝난 건 아니었다. 학회에서도 100명이 넘는 의사들의 정보를 파악하는 데 2달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전공의를 시작한 지 10년도 넘은 이들이기에 정보가 없어 학회에서도 일일이 확인해야 했다. 처음 학회에서 준 자료에는 △근무지 △세부 전공 △전문의 과정을 한 병원 등의 정보가 나와 있었다. 한 면을 채울 기사로 쓰기에는 추가 취재가 필요했다.
고민하다 결국 기존 기사들과는 다른 방식, 다른 렌즈로 문제를 들여다 보기로 했다. 그때 떠올린 게 한 기수를 전수 조사하는 것이었다. 전공의를 시작한 지 10년이 넘었을 의사들을 추적하고, 이들의 삶의 궤적을 파악해 졸업앨범 형식으로 정리하는 것.
문제는 신경외과 전공의는 한 기수만 해도 100명이 넘어간다. 누군지도 모를 100여 명의 의사들을 하나하나 추적하는 건 불가능했다. 결국 신경외과 의사들이 속해 있는 대한뇌혈관외과학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그렇게 지난해 12월 방재승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를 만났다. 학회에서 이사를 겸하고 있는 교수다. 평일에는 매일 같이 수술에 들어가 시간을 낼 수가 없었다. 수술이 없는 토요일에 겨우 만날 수 있었다. 그 역시 힘이 들어 응급 수술이 많은 뇌혈관 파트를 떠나는 후배들에게 안타까움을 가지고 있었다. 흔쾌히 도움을 주겠다고 했다.
여기서 취재가 끝난 건 아니었다. 학회에서도 100명이 넘는 의사들의 정보를 파악하는 데 2달 가까운 시간이 걸렸다. 전공의를 시작한 지 10년도 넘은 이들이기에 정보가 없어 학회에서도 일일이 확인해야 했다. 처음 학회에서 준 자료에는 △근무지 △세부 전공 △전문의 과정을 한 병원 등의 정보가 나와 있었다. 한 면을 채울 기사로 쓰기에는 추가 취재가 필요했다.
1월 23일 충남 서산의료원에서 취재용 카메라를 설치하고 있는 모습. 의료진들이 일하는 현장을 취재하기 위해 병원 응급실에서 먹고 자며 취재를 했다.
디테일의 힘
나는 기자치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디테일의 힘’을 의심하는 편이다. 한 줄의 디테일한 정보가 들어가기 위해선 수많은 발품을 팔아야 한다. 읽지 않는 시대에, 그저 한 줄로 소비되고 사라지는 디테일이 기사에서 어떤 힘을 가지는지 의심하곤 한다. 다만 이번만큼은 디테일이 힘을 가졌을 거라고 믿고 싶다.
팀원들과의 회의 끝에 △응급 수술 건수 △그만두고 싶다고 느낀 적 있는지 △개두술 가능 여부 등을 추가 취재하기로 했다. 이들을 인터뷰해 학회에서 받은 자료보다 더 세세한 디테일을 담고 싶어서다. 추가 취재해야 하는 대상은 2011년 신경외과 전공의를 시작한 111명 전원.
이 취재가 들어가던 즈음, 다른 파트 취재는 끝이 보이던 시기였다. 시간이 촉박해 서둘러야 했다. 걱정이 앞섰다. ‘그 많은 이들에게 일일이 다 언제 걸지, 남은 시간도 없는데… 또, 누군지도 모르는 기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인터뷰에 응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못 버티고 떠난 과거를 들쑤시러 전화를 얼마나 달가워할까…’ 고민만 할 수 없었기에, 주말에도 나와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그래도 언제나 그렇듯 취재는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예상보다 훨씬 많은 70명 넘는 의사들은 기꺼이 인터뷰에 응했다. 수술실을 떠나 개업한 의사들은 “비록 나는 떠났지만, 후배들은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하며 남았으면 한다”는 말도 덧붙이곤 했다.
지면 4회 기사는 이렇게 끝난다. “취재팀이 연락한 대학병원 응급 개두술 의사 9명 중 7명은 최근 1년 안에 ‘지금 하는 일을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의사가 그냥 힘든 게 아니라, 남아있는 의사들마저 떠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힘들 게 취재하지 않았다면 나오지 못했을 결론이다.
팀원들과의 회의 끝에 △응급 수술 건수 △그만두고 싶다고 느낀 적 있는지 △개두술 가능 여부 등을 추가 취재하기로 했다. 이들을 인터뷰해 학회에서 받은 자료보다 더 세세한 디테일을 담고 싶어서다. 추가 취재해야 하는 대상은 2011년 신경외과 전공의를 시작한 111명 전원.
이 취재가 들어가던 즈음, 다른 파트 취재는 끝이 보이던 시기였다. 시간이 촉박해 서둘러야 했다. 걱정이 앞섰다. ‘그 많은 이들에게 일일이 다 언제 걸지, 남은 시간도 없는데… 또, 누군지도 모르는 기자가 전화를 걸었을 때 인터뷰에 응할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못 버티고 떠난 과거를 들쑤시러 전화를 얼마나 달가워할까…’ 고민만 할 수 없었기에, 주말에도 나와 전화를 걸기 시작했다.
그래도 언제나 그렇듯 취재는 예상과 다른 방향으로 흘러갔다. 예상보다 훨씬 많은 70명 넘는 의사들은 기꺼이 인터뷰에 응했다. 수술실을 떠나 개업한 의사들은 “비록 나는 떠났지만, 후배들은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하며 남았으면 한다”는 말도 덧붙이곤 했다.
지면 4회 기사는 이렇게 끝난다. “취재팀이 연락한 대학병원 응급 개두술 의사 9명 중 7명은 최근 1년 안에 ‘지금 하는 일을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의사가 그냥 힘든 게 아니라, 남아있는 의사들마저 떠나고 싶어 한다는 것이다. 힘들 게 취재하지 않았다면 나오지 못했을 결론이다.
마지막으로
그래도 마지막 후기니까 이 정도는 적어도 되지 않을까 싶다. 기사가 나간 날 4회의 주인공인 이시운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에게 연락이 왔다. “주변에서 안부를 묻는 것 보니 기사가 잘 나간 것 같다”고. 이 교수에게 취재에 응해준 것에 대해 고마움을 보내면서 짧은 생각을 덧붙여 보냈다. “그렇게 기사가 나가도 뭐가 바뀔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
실제로 그 순간 든 생각이었다. 대책은 매번 표류하고, 표류 끝에 상처 입는 피해자는 반복될 것 같다는 강한 의심이 들었다. 그런데도 이 기사를 계기로 조금이라도 많은 사람이 알게 된다면 작은 변화라고 생겼으면 싶다. 10년쯤 지나서 더 이상 표류하는 환자가 없어져서, 내가 틀렸으면 싶다. 만약 정말 그런 변화가 생긴다면 그건 힘들게 목소리를 내준 표류 환자들과 의료인들 덕일 것이다.
실제로 그 순간 든 생각이었다. 대책은 매번 표류하고, 표류 끝에 상처 입는 피해자는 반복될 것 같다는 강한 의심이 들었다. 그런데도 이 기사를 계기로 조금이라도 많은 사람이 알게 된다면 작은 변화라고 생겼으면 싶다. 10년쯤 지나서 더 이상 표류하는 환자가 없어져서, 내가 틀렸으면 싶다. 만약 정말 그런 변화가 생긴다면 그건 힘들게 목소리를 내준 표류 환자들과 의료인들 덕일 것이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
표류 : 생사의 경계를 떠돌다
응급환자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고 무력하게 떠도는 ‘표류’는 운이 나쁜 누군가가, 어쩌다 겪는 일이 아닙니다.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26명의 ‘표류’ 환자와 그 가족을 인터뷰했습니다.
응급실과 구급차에서 37일을 보내며 26명의 ‘표류’ 환자와 그 가족을 인터뷰했습니다.
2023.03.27~04.03·히어로콘텐츠 6기·
이상환 기자동아일보 사회부
주로 사건과 금융을 취재했습니다. 사건팀에선 부조리한 상황을, 금융팀에선 누군가의 욕심이 만든 돈의 흐름을 지켜봤습니다. 취재하다보니 세상엔 정답을 알 수 없는 문제들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써도 될까, 항상 의심하며 취재하고 있습니다.
Inside
더보기
-
피해자에게 전화하지 못한 이유 4시간의 인터뷰를 마치고 짐을 챙기던 참이었다. 한 손으로는 동대구역으로 가는 길을 검색하며, 조금은 가볍게 말을 이었다.“이렇게 인터뷰하시는 거 어려운 결정이었을 것 같아요.”질문은 짧았는데, 답은 길었다.가끔 뜨개질한 물건…2024.07.08·김태언 기자
-
‘취재용 전화번호’ 62개를 만든 이유 "하나하나 확인해 보지 않는 이상 알 방법이 없어요.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하겠어요?"취재 초반, 아이템 주제를 '정식 대부업체로 위장한 불법사채'로 정한 뒤 그 실태를 금융당국 및 수사당국 관계자들에게 물을 때마다 돌아오는 대답은 …2024.07.05·김소영 기자
-
‘사채왕’은 없었다 불법사채는 오래된 문제였다. 1997년 외환위기(IMF) 이래로 경기가 안 좋을 때마다 불법사채 피해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그때마다 정부는 대책을 내고 언론은 불법사채 문제를 조명했다. 불법사채를 소재로 한 영화나 드라마는 차고 …2024.07.04·김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