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활자가 일어나 방송이 되다

히어로콘텐츠가 새롭게 내디딘 길
조민기 기자|동아일보 히어로스쿼드 2023-12-26 10:00:01
신문X방송
“방송 잘 만들 수 있죠?”

채널A 보도본부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으로 홀로 파견 온 첫날, 방송의 ‘방’자만 나와도 시선은 나에게 쏠렸다. 히어로콘텐츠 최초로 시도되는 신문과 방송의 협업. 의미 있는 결과를 내야 한다는 생각에 어깨가 무거워졌다.

부담감으로 짓눌린 무게에 비해, 다소 까다로운 주제를 거리낌 없이 던지고 말았다. 품을 잃은 아이들의 삶을 들여다보자는 아이디어는 방송 기사 소재로는 적합하지 못했다. 새로운 뉴스거리가 아닐뿐더러 언론 윤리적인 이유 등으로 주인공인 아이들이나 미혼모의 얼굴을 공개하기 쉽지 않다는 한계도 있었다. 하지만 어렵다는 이유로 외면해서는 안 되는 주제였다. 팀원들과 회의를 거듭하며, 아이들만 생각하고 달려본다면 시청자와 독자 모두에게 울림을 주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공감대가 생겨났다. 그렇게 6개월의 여정이 시작됐다.
베이비박스에서 필자가 진행한 인터뷰. 미혼모의 얼굴을 문고리로 가렸다.베이비박스에서 필자가 진행한 인터뷰. 미혼모의 얼굴을 문고리로 가렸다.
신문과 방송은 출발부터 접근법이 달랐다. 신문은 미리 특정한 방향으로 결론을 내리지 않고 반년간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며 방향성을 잡아가는 방식으로 취재했다. 하지만 방송은 소위 ‘야마’라고 불리는 뾰족한 하나의 주제가 없다면 그 기사는 뉴스 큐시트에 들어갈 수 없었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신문과 달리, 방송은 ‘그래서 뭐가 문제인데?’를 좀 더 직접적으로 짚어줘야 하는 것이다. 채널A 보도본부에서 선배 기자와 별도의 취재팀을 꾸려 방송 콘티를 짜고 영상 구성 논의에 돌입했다. 차이점은 취재 과정에서도 이어졌다. 신문 기사는 글만 읽어도 현장이 그려지도록 묘사해야 한다면, 방송 기사는 그 현장을 영상으로 담아내야만 한다. 취재진이 지나간 모든 현장은 언제나 글과 영상 두 가지로 기록되는 ‘투 트랙’ 취재의 흔적이 남았다. 쉽진 않았지만, 무조건 해내야 한다는 마음으로 바짝 달려들었다.
데일리 리포트를 넘어서
방송 뉴스에서 하나의 주제를 반년 동안 취재할 수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특정 사건을 심도 있게 파헤치는 탐사보도가 간간이 있을 뿐, 내러티브 중심의 기사를 이 정도 긴 호흡으로 준비하는 건 매일같이 쏟아지는 뉴스의 홍수 속에선 사치로 여겨진다. 그만큼 나 자신부터 취재에 임하는 자세의 깊이를 달리 해야 했다. ‘영아 유기’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곳인 베이비박스로 향했다. 베이비박스에 남겨진 아이에 대한 기사는 매해 어린이날 단골 소재다. 하지만 하루 취재해 하루 보도하는 방식으로는 아이가 베이비박스를 떠난 뒤 겪는 과정을 담아낼 수 없었다. 아이가 어떤 삶을 살게 되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아이가 새 가족을 찾기까지의 과정을 추적 관찰해야만 했다.
취재기자 4명은 교대로 베이비박스에 500시간 동안 상주하며 아이들을 관찰했다. 지난 9월 27일 대기 중인 필자.취재기자 4명은 교대로 베이비박스에 500시간 동안 상주하며 아이들을 관찰했다. 지난 9월 27일 대기 중인 필자.
직접 찾아가고 수차례 전화를 하며 설득한 끝에 아이를 베이비박스에서 건네받는 담당 구청 아동보호전담요원과의 동행 취재를 성사시켰다. 이어, 아이가 아동보호전담요원의 품을 떠나 머물게 되는 서울시 아동복지센터(센터)에서의 촬영도 허가받았다. 두 취재 모두 방송사 최초였다. “원래 촬영은 절대 안 되는데, 한두 번도 아니고 몇 달 동안이나 좋은 취지로 취재하신다고 하니 도움 드려요.” 센터 관계자의 한마디가 준 여운이 지금도 남아 있다. 500시간 동안 베이비박스에 상주하며 아이를 만난 것도, 아이가 베이비박스를 떠나 18일간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는 모습을 담아낸 것도 히어로콘텐츠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아동보호전담요원과 동승해 유기아동의 이동 과정을 촬영하고 있다.아동보호전담요원과 동승해 유기아동의 이동 과정을 촬영하고 있다.
하나의 현장, 4명의 기자
이후로도 섭외는 산 넘어 산이었다. 수소문 끝에 상처 받은 아이들의 회복을 돕는 입양 가정과 위탁 가정들을 찾았지만, 그 가정들은 부산 울산 광주 등 전국 곳곳에 흩어져있었다. 어디도 수시로 방문할 수 있는 거리가 아니기에 한 가정을 갈 때마다 ‘대이동’이 이뤄졌다. 필자를 포함한 취재기자 2명, 사진기자와 영상기자까지 4명의 기자가 한꺼번에 집 안으로 들어갔다. 여기에 영상기자를 보조하는 오디오맨과 기관 관계자까지 더하면 한 집에 10명 넘는 사람들이 우글우글 뭉쳐 있었다.
취재진이 위탁가정을 둘러싸 동시에 취재하고 있다.취재진이 위탁가정을 둘러싸 동시에 취재하고 있다.
할애받은 시간은 정해져 있고 할 일은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사공이 많아 배가 산으로 가는 건 막아야 했다. 영상 촬영 도중 사진 셔터 소리가 나거나 사진에 취재기자 모습이 걸쳐지면 안 됐다. 교통 정리는 필수였다. 결국 사진 촬영을 먼저 빠르게 진행하면 그 뒤에 영상 촬영과 인터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규칙을 정했다.

“어머니, 방금 그 모습 너무 좋았는데 한 번만 더 부탁드려도 될까요?” 순서를 정했다고 해서 모든 게 해결되는 건 아니었다. 영상 촬영을 하다 좋은 장면이 보이면 사진으로도 재촬영해야 했고, 그 반대 상황도 부지기수였다. 3시간 넘게 이어지는 촬영에 가족들은 지쳐갔다.

인터뷰도 만만치 않았다. 상처받은 아이들에 대한 주제인 만큼 미혼모, 입양·위탁 부모, 기관 관계자 등 아이들과 관련된 사람들의 마음을 여는 것부터 난관이었다. 문제는 어렵사리 설득하더라도 커다란 ENG 카메라 앞에 앉힌 뒤 조명을 켜고 와이어리스 마이크를 채워드리는 순간 모두 빳빳하게 굳기 시작한다는 점이다. ‘방송 잘못 나가면 욕만 엄청 먹는 거 아니냐’는 질문에 성심성의껏 안심시켜 드리는 것도 우리의 몫이었다. 행여 가족들이 부당한 평판을 받지 않도록, 인터뷰 내용도 영상도 고심의 고심을 거듭해 담아냈다.

“다신 못하겠네요. 그래도 먼 길 와서 이렇게 꼼꼼히 찍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취재진을 배웅 나온 가족들의 눈빛에는 피로와 고마움이 뒤섞여있는 듯했다. 더 많은 아이들이 따뜻한 품을 찾을 수 있도록, 카메라 앞에서 용기 내어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내 주신 모든 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2분이라는 시간의 힘
방송기사가 가진 장점은 시청자에게 시청각적 요소로 다가갈 수 있다는 것이다. 관건은 3개월간 전국 곳곳을 누비며 담은 영상을 어떻게 유기적으로 조합하느냐였다. 같은 내용을 말하더라도 구성 방식에 따라 기사의 질은 극적으로 달라졌다. 위기 임산부가 처한 현실적 어려움을 말하는 기사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기사를 시작해야 시청자들이 위기 임산부의 상황을 짐작해 볼 수 있을까 고민했다. ‘베이비박스에 아이를 맡기면서 남긴 엄마들의 편지로 기사를 시작하면 어떨까? 가슴 아픈 사연을 보여준다면 그들에게 더 공감할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2년 치 편지를 받아왔다. 다음 고민은 이 편지들을 어떻게 보여주느냐였다. 스튜디오 한쪽 면에 노끈을 달고 나무집게로 59장의 편지를 모두 걸었다. 그리고 노란 핀 조명을 쏘니 편지로의 몰입감이 한층 커졌다. ‘너무 미안하고 사랑한다’, ‘좋은 곳에 입양 보내주세요’ 같이 엄마들이 꾹꾹 눌러쓴 구절이 아프게 다가왔다.
얼굴 공개가 어려운 아이들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풀어내기 위한 시도는 계속됐다. 베이비박스에 아이가 남겨지는 장면을 아이의 시점에서 보여주기 위해 아기 인형에 360도 카메라를 달았다. 영상 촬영이 어려웠던 2화 주인공 혁재의 회복기를 전달할 때는 곰인형을 활용하기도 했다. 단 3초간 흘러가는 영상일지라도 시청자를 더 몰입시킬 수 있다면, 그래서 방송이 나가는 2분 동안 많은 시청자들이 아이들에게 마음을 여는 기적이 일어날 수 있다면, 못할 일이 없었다.
아기 인형에 360도 카메라를 설치 중인 필자.아기 인형에 360도 카메라를 설치 중인 필자.
곰 인형을 통해 2화 주인공 혁재의 회복기를 재구성했다.곰 인형을 통해 2화 주인공 혁재의 회복기를 재구성했다.
결국 한 곳으로
이번 히어로콘텐츠는 최초로 신문, 인터랙티브, 방송이라는 3개의 채널로 출고됐다. 각 기사가 갖는 특성과 문법은 모두 다르지만, 결국 말하고자 하는 바는 같다. 6개월의 노력이 아이들에게 평생의 품을 선사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이번 기획을 시작으로 우리 사회가 ‘생명’과 ‘사랑’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며 함께 해법을 찾아나가길 바라는 마음 또한 최선을 다해 담았다. 낯선 세상을 부모의 품에서 시작하지 못한 아이들과 6개월을 보내며, 세상에 더 소중하고 덜 소중한 아이는 없다는 생각을 가장 많이 했다. 하나하나 귀한 이 땅의 아이들 모두가 당당하고 아름다운 삶을 펼칠 수 있는 세상이 하루빨리 오기를 고대해 본다. 아이들에게 행복이 찾아오길 바라는 작은 마음들이 모여 세상을 품는 큰 품이 될 것이라 믿는다.



이 글은 <미아: 품을 잃은 아이들'> 시리즈 기사를 제작한 히어로콘텐츠 7기 팀원들이 쓰는 제작 후기입니다. 어떤 철학과 고민을 담아 기사를 제작했는지 독자 여러분에게 공유합니다. 다음 후기는 27일 오전 10시에 공개됩니다.

관련 콘텐츠 더보기
미아: 품을 잃은 아이들 태어나자마자 부모 품을 떠나야 했던 아이 앞엔 어떤 삶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우리 사회는 이 아이들을 얼마나 따뜻하게 품어주고 있을까요. '품 밖'을 경험한 47명의 아이를 만나봤습니다.
2023.12.17~22·히어로콘텐츠 7기·
조민기 기자
조민기 기자|동아일보 히어로스쿼드

어디서 어떻게 태어났든 모든 아이들을 따뜻하게 품어 줄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유독 시린 이 겨울, 아이들에게 작은 행복이 찾아오길 바라는 마음으로 펜과 마이크를 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