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unmute-icon
음성이 포함된 기사입니다.
클릭해 소리를 수 있습니다.

title

“1월 달, 2월 달, 한겨울 영하의 날씨에도 화재 현장 같은 경우를 나갔다 오면 한여름에 흘리는 땀만큼 흘려서 돌아옵니다. 여름에는 뭐, 솔직히 거의 탈진할 정도로. (방화복을 입고 현장에 다녀오면) 물속에 한 번 들어갔다 나온 것처럼 온몸이 다 젖어 있기 때문에 여름 같은 경우엔 굉장히 더 힘듭니다.”
-서동신 서울 송파소방서 현장대응단 소방관(근무 경력 12년)
Part 2
짊어지는
무게
화재 현장의 온도는 섭씨 1000도까지 오른다. 사람은 한순간도 버틸 수 없다. 그렇게 강한 불길을 뚫고 불을 끄기 위해 소방관은 개인보호 장비 6개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방화헬멧(약 1.4kg)
실내 화재 현장에선 갑작스럽게 불에 탄 물체가 떨어지기도 한다. 이때 방화헬멧은 충격으로부터 소방관의 머리를 보호한다. 섭씨 200도의 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특수 소재로 만든다.
방화두건(약 0.2kg)
화재 현장의 불꽃이나 위험 물질로부터 소방관의 머리와 이마, 귀, 목 등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공기호흡기 세트(약 11kg)
화재 현장에선 유독가스가 퍼지고 산소가 부족해진다. 소방관이 유독가스를 마시지 않고 호흡하려면 공기호흡기 세트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1개의 공기통에는 일반적으로 소방관 한 명이 30분간 호흡할 수 있는 압축공기가 들어 있다.
방화복(약 4kg)
소방관의 몸을 열기로부터 보호해주는 옷으로 내피, 외피 두 겹을 겹쳐 입어야 한다. 섭씨 500도의 열기에서도 타지 않는 특수 소재로 제작한다.
방화장갑(약 0.32kg)
소방관은 화재가 발생한 곳에 진입하기 위해 뜨거운 물체를 만져야 할 때가 있다. 이때 방화장갑을 착용해야 손과 손목, 손등을 보호할 수 있다.
방화신발(약 3kg)
화재 발생 현장의 열기와 위험한 물체로부터 소방관의 발과 발등, 발목을 보호해주는 장비다. 신발의 밑창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특수 고무로 제작한다.
소방관 한 명이 입는 소방복의 무게, 약 20kg
이는 500mL 생수(병당 500g) 40개를 한 번에 드는 무게와 같고,
단행본 책(권당 약 400g) 50권을 든 무게와 같다.
소방관은 이 무게를 짊어진 채 화재 현장 곳곳을 뛰어다닌다. 어깨에 멘 공기통에서 산소를 공급받는 30분 동안 쉴 새 없이 움직여야 더 빨리 불을 끌 수 있다.

인명을 구해야 하는 구조대는 추가 장비를 갖춘 상태에서 현장에 투입된다. 로프, 랜턴, 경보기, 등지게 등을 챙기면 소방관 1명이 짊어져야 할 무게는 더 늘어난다. 무엇보다도 소방관은 불을 끄고 사람을 살려야 한다는 가장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현장을 누빈다.
“현장에서는 저희가 무거운 짐을 들고 무거운 장비를 들지만 체감은 현장에선 안 느껴져요. 왜냐하면 긴장을 워낙 하다 보니까 이게 안 느껴지는데, 나중에 현장(상황)을 마무리하고 잔화 정리를 하고 (방화복을) 딱 벗을 때. 그 때 느껴지거든요. ‘수명이 또 단축됐구나.’ 이걸 느껴요.”
-김길중 서울 양천소방서 신트리119안전센터 소방관(근무 경력 12년)
“평상시에는 조심하지 않으면 나도 다칠 수가 있다. 이런 생각을 하지만 현장 활동을 할 때는 그런 생각이 안 들고. 현장활동은 연기 많이 나오고 뜨겁다고 그래서 안들어가면. 화재가 확대되거나. 아니면 오히려 겁을 내거나 그렇게 하면 더 다칠 수도 있고.”
-권영준 서울 중부소방서 신당119안전센터 소방관(근무 경력 20년)
전국의 소방관들은 이렇게 무거운 장비를 착용한 채 지난해 10만 건 이상의 화재 현장에 출동했다. 화재는 빌라, 아파트, 창고, 차량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발생했다. 그 모든 화재 현장에 소방관이 갔다.
“아파트 단지에 생긴 벌집 좀 없애주세요!” 벌집 제거 신고 19만5317건. “길가에 큰 물건이 떨어져 있는데 빨리 치워주세요!” 각종 안전 조치 요청 신고 11만9918건. “주택가에 멧돼지가 나타나 뛰어다니고 있어요. 얼른 좀 치워주세요!” 동물 포획 신고 8만2932건. “화장실 문이 고장 나서 안에 아이가 갇혀 있어요. 빨리 오셔서 구해주세요!” 잠금 개방 신고 5만5462건.
시민들이 원할 때, 소방관은 언제라도 출동해야 한다. 그래서 소방서와 119안전센터의 불은 24시간 켜져 있고, 소방관은 늘 극도의 긴장 속에 근무한다.
2022-04-02 화수동 정화조 청소 차량 화재
2022-05-20 장림동 도금공장 화재
2022-04-04 주안 포레나 공사 현장 화재
2022-05-03 감천동 아파트 화재
2022-05-13 장림동 다가구 주택 화재
2022-05-15 을숙도대교 차량 화재
2022-06-16 대평동 선박 화재
2022-06-21 구의동 주택 화재
2022-06-21 구로동 건물 외벽 화재
2022-06-30 외발산동 고물상 화재
2022-07-02 뚝섬 한강공원 차량 화재
2022-07-02 성산동 빌라 화재
2022-07-12 문봉동 창고 화재
2022-07-12 안녕동 가구 제작 공장 화재
2022-07-13 팔곡이동 공장 화재
2022-04-09 십정동 카센터 화재
2022-04-25 불은면 덕성리 산불
2022-04-26 수산동 비닐하우스 화재
2022-03-31 백운산 자락 화재
2022-05-29 영도구 봉래산 화재
2022-06-04 서부산IC 입구 전기차 화재
2022-06-23 신도림동 아파트형 공장 화재
2022-06-25 우동 철물 공구점 화재
2022-06-26 독산동 빌라 화재
2022-07-02 종로구 북악스카이웨이 차량화재
2022-07-03 구로동 차량 화재
2022-07-06 숭인동 단독주택 화재
2022-07-15 가산동 야외 창고 화재
2022-07-16 금곡동 세탁기 화재
2022-07-16 청학동 가리비수조 창고 화재
소방 영상 출처는 왼쪽 위부터 순서대로 인천중부소방서, 부산사하, 인천미추홀, 부산사하, 부산사하, 부산사하, 부산항만, 서울광진, 서울구로, 서울강서, 서울광진, 서울마포, 경기일산, 경기화성, 경기안산, 인천부평, 인천강화, 인천남동, 인천영종, 부산항만, 부산강서, 서울구로, 부산해운대, 서울금천, 서울종로, 서울구로, 서울종로, 서울금천, 경기분당, 부산항만.
댓글 0
닫기